목차
트럼프 시대를 대비한 주식투자 전략
- 트럼프 2기 경제 정책과 글로벌 충격
2025년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은 미국뿐 아니라 글로벌 경제 전반에 큰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핵심 키워드는 여전히 ‘미국 우선주의(MAGA)’입니다. 트럼프는 보호무역을 강 화하며, 중국·멕시코·캐나다 등 수출국에 대한 고율 관세를 부과해 미국 제조업 부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중국에는 추가로 10% 관세를 부과하고, 멕시코·캐나다에도 25% 관세를 예고했습니다. 미국 중심 제조업 재편과 글로벌 공급망 재구성이 핵심 전략입니다. 문제는 이러한 보호무역이 인플레이션을 자극한다는 점입니다. 물가 상승으로 인해 연준 (Fed)의 급격한 금리 인하가 어려워지고, 글로벌 주식시장 전반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 습니다. 특히 한국은 미국과 중국에 모두 높은 수출 의존도를 가진 나라로, 한국 증시는 직접적 충격을 받습니다.
- 한국 증시에 미치는 영향과 투자 전략
한국 증시는 정치적 불확실성과 경제적 위기 속에서 투자 심리가 크게 위축되어 있습니 다.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 헌법재판소 판결로 인한 대선 일정 변동 등 정치적 리 스크가 주식시장에도 악재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2차 전지: IRA 혜택 축소와 중국 전기차 확장으로 인해 2차 전지 3사(삼성SDI·LG 에너지솔루션·SK온)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이 20% 이하로 축소, 장기적 하락세 예 상.
◆ 반도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역시 반도체 업황 부진과 엔비디아 HBM 공급 차질 로 어려운 상황. 브로드컴의 신기술 등장으로 엔비디아 독점이 깨질 가능성까지 존재.
◆ 조선: 반면 조선업은 미국 내 조선업 부활 정책 속에서도 한국 조선업의 기술력 이 필요해 장기적 수혜 가능.
◆ 방산: 방산주는 단기 급등으로 고점 부담이 크지만, 여전히 지정학적 리스크 대응 주로 관심.
- 시장 대응 포인트와 실전 전략
1. 철저한 차트 분석: 데드크로스 발생 시 손절 우선.
2. 정책 테마주 주목: 우크라이나 재건, 미국 조선업 협력, 전력 인프라 확대 수혜주.
3. 기술적 분석 필수: 장기 보유보다는 저점 매수 후 단기 수익 실현 전략.
4. 저성장·고부채 환경: 한국은 이미 일본식 장기불황 리스크에 직면한 상태. 저성장 환경에서는 장기 보유보다 유망 업종 저점 매수 후 단기 차익 실현이 유리.
특히 2025년 한국 주식시장에서는 AI, 자율주행, 드론, 양자컴퓨터 관련주가 핵심 테마로 부상할 전망입니다. 이와 함께 조선 기자재, 방산,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는 장기적 수 혜가 기대됩니다.
불확실한 트럼프 시대, 마음 편한 ETF 투자 전략
◈ 왜 ETF인가?
트럼프 2기 시대의 최대 특징은 정치적·경제적 불확실성입니다.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극 대화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개별 주식 투자보다는 분산된 ETF가 더욱 주목받습니다. ETF는 펀드+주식의 장점을 결합한 상품으로, 실시간 매매 가능·저비용·투명성·환금성 등 에서 뛰어난 장점을 가집니다. 특히 패시브 ETF뿐만 아니라 액티브 ETF가 대세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 패시브 ETF: 특정 지수 추종, 정기 변경 외 종목 변경 불가
• 액티브 ETF: 매니저가 시장 상황에 맞춰 종목 변경 가능, 변동성 대응 유리
◈ 자산 규모별 ETF 포트폴리오 전략
1. 천만 원 투자자
o 공격적 자산 증식이 목표
o 글로벌 AI·방산·우주 테마 ETF 집중
o 액티브 ETF 활용해 적극적 종목 교체
o 포트폴리오 - TIMEFOLIO 글로벌 AI 인공지능 액티브 ETF
2. 1억 원 투자자
o 주식형 70% + 채권형 30% 구성 o 미국 나스닥 액티브 ETF, 글로벌 우주테크 ETF, 배당 ETF 혼합
o 금리 변화 대응을 위한 CD 금리 ETF 포함
o 포트폴리오
1. TIMEFOLIO 나스닥100 액티브 ETF
2. TIMEFOLIO 글로벌우주테크&방산 액티브 ETF
3. TIMEFOLIO Korea플러스배당 액티브 ETF
4.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ETF
5.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 ETF
◈ ETF 활용 핵심 포인트
• 액티브 ETF 활용: 변동성 대응 및 성장성 극대화
• 분산투자: 다양한 섹터·자산군에 걸쳐 투자
• 정기 리밸런싱: 시장 환경 변화에 맞춰 비중 조절
• 세금·절세전략: 연금·ISA 계좌 적극 활용해 배당소득세 절감
트럼프 2기 시대에는 미국 중심 제조업 리쇼어링·AI·전력 인프라·방산·조선 등 정책 수혜 테마 ETF가 핵심 투자처가 될 전망입니다
트럼프 2.0 시대의 미국 전력 산업 전망
- AI와 전력 수요 폭증
트럼프 2기 시대 미국 전력 산업의 최대 키워드는 AI와 리쇼어링입니다. AI 데이터센터 구축과 미국 제조업 부활로 전력 수요가 폭증하면서, 전력 인프라 및 에 너지 산업 전반에 대규모 투자가 필요해졌습니다. 전력 수요 확대는 재생에너지·천연가스·원자력·송배전 인프라 전반의 균형 투자로 이어집 니다. 특히 석탄 의존도는 줄고, 천연가스·원자력·태양광·풍력이 핵심 발전원으로 자리 잡고 있 습니다.
- 정책과 초당적 합의
• 트럼프 2기에서도 초당적 전력 인프라 투자는 계속됩니다.
• 송전망 구축·전력 효율화·재생에너지 확대·원자력 부활 등이 정책 우선순위.
• 천연가스는 탄소 포집 기술과 결합해 친환경 발전원으로 재평가.
- 전력 산업 투자 전략
1. KoAct 글로벌 기후테크 인프라 액티브
o 전력 인프라·변압기·재생에너지·천연가스·원자력까지 아우르는 포괄적 투자 상품
o 트럼프 당선 이후에도 강세 유지
2. KoAct 미국 천연가스 인프라 액티브
o 미국 천연가스 송·배전 인프라 기업에 투자
o 가격 변동성보다 물동량 증가에 따른 수익 구조
- 핵심 포인트
• AI와 전력 수요 폭증은 전력 산업 슈퍼사이클로 연결
• 친환경 에너지와 전통 에너지의 균형 투자 필요
• 초당적 인프라 투자 지속으로 장기 성장 전망
• 한국 투자자들은 글로벌 기후테크·천연가스 인프라 ETF로 미국 전력 산업에 참여 가능